고감도 H2S 감지를 위한 SnO2 장식된 Cr2O3 nanorods 이종구조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creation of vertically aligned one-dimensional (1D) nanostructures through the decoration of n-type tin oxide (SnO2) on p-type chromium oxide (Cr2O3) constitutes an effective strategy for enhancing gas sensing performance. These heterostructures are deposited in multiple stages using a glancing angle deposition technique with an electron beam evaporator,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surface porosity of the nanorods as SnO2 is incorporated. In comparison to Cr2O3 films, the bare Cr2O3 nanorods exhibits a response 3.3 times greater to 50 ppm H2S at 300°C, while the SnO2-decorated Cr2O3 nanorods demonstrate an eleven-fold increase in response. Furthermore, when subjected to various gases (CH4, H2S, CO2, H2), a notable selectivity toward H2S is observed. This study paves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p-type semiconductor sensors with heightened selectivity and sensitivity towards H2S, thus advancing the prospects of gas sensor technology.
Keywords:
Gas sensors, Oxide semiconductors, Cr2O3, SnO2, Heterostructures, Hydrogen sulfide, Nanorods1. 서 론
H2S(황화 수소)는 악취와 독성이 매우 강한 부식성, 가연성, 폭발성을 띄는 무색의 가스이다 [1,2]. 자연적으로 원유, 천연가스, 온천, 화산 폭발, 유기물의 분해 등에서 생성되고, 산업적으로는 코크스 오븐(coke ovens), 가죽 공장, 크래프트 종이 공장(kraft paper mills)등 70 여 개의 산업에서 발생한다 [3-5]. H2S에 낮은 수준으로 노출될 경우 눈과 목의 손상, 현기증, 기억 손상, 그리고 판단력과 균형 감각의 손실이 발생하고, 2 ppm의 농도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구토/두통을 유발하며, 20 ppm에서는 피로와 두통이 발생하고, 50-100 ppm에서는 식욕 감소, 호흡기 자극, 소화 문제, 그리고 호흡 곤란을 초래한다 [6,7]. 100 ppm 이상에 노출될 경우 후각이 마비되어 가스에 잠시만 노출되었다는 착각을 줄 수 있고, 1000 ppm 이상에 노출되면 즉시 사망을 초래한다 [8]. 따라서, 고성능의 H2S 가스센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스 센서는 검출 방법에 따라 전기화학식 [10], 접촉 연소식 [9] 광학식 [10] 반도체식 [11]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12,13]. 반도체식 가스센서는 다른 방식에 비해 낮은 선택성에도 불구하고 초소형 제작이 가능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해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저전력 구동, 빠른 반응시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세대 센서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14].
반도체식 가스센서에서 감지소재로 사용되는 금속 산화물은 Si 기반 반도체와 달리 넓은 밴드갭을 가지고 있으며, aliovalent cations의 도핑 [15], 산소 부정비량(oxygen nonstoichiometry) [16]에 의해서 주요 전하 운반자(majority charge carrier)가 결정된다. 이러한 감지소재는 100~500°C에서 공기중에 노출 시음전하를 가지는 산소의 흡착으로 인해 n-type은 전자 공핍층(electron-depletion layer)이 p-type은 정공 축적층(hole-accumulation layer)이 생성되어 전기적으로 코어-쉘 구조(core-shell structure)를 형성하게 되고, CH3COCH3, C2H5OH, NH3등의 환원성 가스에 노출되었을 때, 표면에 흡착된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됨으로써 감지 소재로 전자가 다시 주입되게 된다 [17-20]. 따라서 n-type감지소재의 경우 전자 공핍층이 줄어들어 저항이 감소하고, p-type의 감지소재는 정공 농도가 줄어들어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NOx와 같은 산화성 가스에 노출되었을 때, n-type 감지소재의 경우 전자 공핍층이 늘어나 저항이 증가하고, p-type의 경우 정공 농도가 증가하여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20,22].
다양한 감지소재 중, NiO, CuO, Cr2O3, Co3O4, Mn3O4와 같은 p-type 감지소재는 가스에 대한 선택적 산화를 촉진하여 높은 선택성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n-type 감지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반응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22-26].
본 연구에서는 높은 반응성과 선택성을 지닌 H2S 가스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 H2S에 선택성을 지닌 Cr2O3 감지소재 기반으로 electron-beam evaporator 사용하여, 1차원 형태의 고정렬 nanorods를 제작하였으며, SnO2를 Cr2O3 nanorods의 표면에 장식함으로써 heterostrutures 가스센서를 제작하였다 [27-29]. 가스감지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제작된 SnO2-decorated Cr2O3 nanorods 기반의 가스센서를 H2S, CO2, H2, CH4, NO2에 노출하였으며, 박막형태의 Cr2O3에 비해 높은 선택성과 약 11배의 반응성 향상 특성을 나타내었다.
2. 연구 방법
2.1 SnO2-decorated Cr2O3 nanorods 제작방법
H2S 감지를 위한 SnO2 장식된 Cr2O3 가스 센서를 제작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4.51 mm x 2.95 mm 크기의 다리 개수 20개, 간격은 5 μm인 Pt IDEs(Interdigitated electrodes)를 제작하고, 아세톤, 에탄올, di-water에서 각 5분씩 초음파 세척하여 기판으로 사용하였다. 감지재료를 IDEs의 전극이 맞물려 있는 선택적 영역에만 증착하기 위해, 기판의 나머지 부분을 테이핑하였고, 감지소재 및 촉매 장식을 위하여 99.9%의 Cr2O3와 99,99% 순도의 SnO2 granule(iTASCO)이 소스로 사용되었다.
E-beam evaporator를 기반으로 한 경사각 증착법을 통해 Cr2O3 기반의 thin film, nanorods를 제작하였으며, 5×10−6 torr 이하의 진공도에서 기판 각도는 0°, 80° 증착 속도는 1 Å/s, 기판 회전 속도 0 rpm, 3.3 rpm에서 제작하였다. 이종접합을 형성하기 위해서 SnO2를 기판 각도는 0°, 증착 속도는 0.1 Å/s, 기판 회전 없이 각각 1, 3, 5 nm의 두께로 증착하였으며, 결정화를 위하여 분당 5°C의 승온 속도로 대기압의 공기 분위기에서 500°C 1시간 열처리 후 실온까지 공랭하여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2.2 미세 구조 및 결정 구조 분석
제작된 SnO2-decorated Cr2O3의 미세구조는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EOL, JSM-7500F)를 통해 관찰하였다. Cr2O3와 SnO2의 결정 구조를 XRD(X-ray Diffraction, Panalytical, EMPYREAN)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2.3 가스 센서 측정
SnO2-decorated Cr2O3 nanorods의 가스 감지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Micro probe station(PHOCOS)에서 직류 바이어스 50 V를 소스 측정 유닛(SMU, Sourse measure unit, Keithley 237)을 사용하여 가하고, 300°C 온도의 100 mL 용적 챔버에 각 구조체를 50 ppm의 농도, 1000 sccm 유량의 측정가스로 측정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고성능의 H2S 가스센서 개발을 위한 SnO2-decorated Cr2O3 nanorods의 제작공정을 Fig. 1에서 보여주고 있다. 경사각 증착법 기술은 nanorods, nanoblades 그리고 zigzag nanocolumns과 같은 1차원 나노 구조체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30,31]. 경사각 증착법으로 제작된 1차원 나노 구조체의 길이와 밀도는 가스 센서로 활용될 때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다. 우리의 이전 연구에서 경사각 증착법으로 80° 각도에서 증착된 nanorods가 최적화된 가스센서 성능을 나타내었다 [30,32]. 따라서 수직으로 정렬된 Cr2O3 nanorods를 제작하기 위해 기판 각도 80°에서 약 400 nm 증착하였다(step 1). Heterostrutures를 만들기 위해 제작된 Cr2O3 nanorods의 표면에 0° 각도에서 SnO2를 제작하였으며, 최적화된 SnO2 장식을 위해서 1 nm, 3 nm, 5 nm 증착하였다(step 2, step 3). 제작된 SnO2-decorated Cr2O3 nanorods 감지 특성을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서 Cr2O3 thin film도 함께 제작하였다.
Fig. 2는 제작된 Cr2O3 thin film, bare, 1 nm, 3 nm, 5 nm 두께의 SnO2-decorated Cr2O3 nanorod의 미세구조와 결정구조를 분석한 FESEM과 XRD 분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 2(a)와 (b)에서 보여주듯이 Cr2O3 박막의 표면은 결정립 사이즈가 조밀하고, 약 300 nm 두께의 Cr2O3 박막이 균일하게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2(c)-(j)는 bare Cr2O3 nanorods, 1 nm, 3 nm, 5 nm 두께의 SnO2-decorated Cr2O3 nanorods의 표면과 단면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SnO2 증착 두께가 증가할수록 기공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약 400 nm두께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들의 결정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서 XRD 분석을 진행하였고, SnO2는 매우 낮은 두께로 장식되어 피크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5종의 샘플 모두 Cr2O3(ICDD 00-038-1479)와 일치하여 500°C에서 annealing에 의한 결정화가 잘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제작된 SnO2-decorated Cr2O3 nanorods의 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300°C에서 50 ppm의 H2S에 노출시켰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 Cr2O3 thin film과 bare Cr2O3 nanorods도 함께 진행하였다. Fig. 3(a)는 H2S 반응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으며, 공기 중에서의 기저저항은 SnO2-decorated Cr2O3 nanorods가 가장 높았으며 Cr2O3 film, bare Cr2O3 nanorods 순으로 나타내었다. Cr2O3는 대표적인 p-type 감지소재로 공기중에 산소가 흡착되어 정공축적층(hole-accumulation layer)이 생성되어 저항값이 내려가게 된다. Thin film과 비교하여Bare Cr2O3 nanorods의 기저저항이 낮다는 것은 thin film에 비해 넓은 반응 면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가장 높은 기저저항을 나타내는SnO2-decorated Cr2O3 nanorods는 Cr2O3와 SnO2의 heterostrutures가 잘형성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환원성 가스인 H2S에 노출되었을 때 모든 센서의 저항이 증가하는 것은 Cr2O3 가 p-type의 감지소재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반도체식 가스센서의 반응성은 (Rg/Ra-1)로 정의되며, 이때 Ra는 air에서의 저항이고, Rg는 타겟 가스 주입 후 저항이다. Fig. 3(b)에서 50 ppm H2S 에 대한 각 센서의 반응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thin film에 비해 Bare Cr2O3 nanorods가 약 3.3배, SnO2-decorated Cr2O3 nanorods가 약 11배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장식하는 SnO2의 두께는 가스센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다. 최적의 SnO2 장식 두께를 선정하기 위해서 bare Cr2O3 nanorods와 1 nm, 3 nm, 5 nm 두께의 SnO2 장식된 Cr2O3 nanorods를 50 ppm의 H2S에 노출시켰다. Fig. 4(a)에는 반응 그래프가 나타나 있고, 공기중에서의 기저저항은 3 nm가 가장 높고, 1 nm, 5 nm, bare 순으로 나타났다. SnO2 장식 두께가 1 nm에서 3 nm로 증가함에 따라 기저저항이 높아지는데, 이러한 결과는 heterostrutures가 형성되면서 접합 부분에 생긴 공핍 영역의 증가에 기인한다. 반면 3 nm에서 5 nm로 증가할 때는 기저저항이 감소하였고, 장식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nanorods의 직경이 커져 증가한 nanorods 간의 접촉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33]. Fig. 5(b)에는 SnO2 장식 두께 별 센서의 반응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1 nm 장식된 센서가 33의 반응성으로 가장 높아 최적의 장식 두께로 선정되었고, Bare, 5 nm, 3nm순으로 나타내었다. 장식하는 촉매의 두께는 감지 특성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므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두께에 따라 변하는 가스 감지 특성에 대한 원리는 추후 논의될 것이다.
Bare Cr2O3 nanorods와 1 nm 두께 SnO2-decorated Cr2O3 nanorods의 선택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300°C에서 50 ppm의 다양한 가스에(H2S, CO2, H2, CH4) 노출시켰다. Fig. 5(a)-(d)에는 반응 그래프가 나타나 있고, 기저저항이 Bare Cr2O3 nanorods는 약 200~400 Ω, 1 nm 두께 SnO2-decorated Cr2O3 nanorods는 약 10000~25000 Ω 사이로 나타나 안정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4종 가스 모두에 대한 반응성이 1 nm 두께 SnO2-decorated Cr2O3 nanorods가 bare Cr2O3 nanorods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관적으로 가스에 대한 선택성을 알아보기 위해 Fig. 5(e)-(g)에 bare Cr2O3 nanorods와 1 nm 두께 SnO2-decorated Cr2O3 nanorods의 반응성, bare Cr2O3 nanorods의 반응성 대비 1 nm두께 SnO2-decorated Cr2O3 nanorods 반응성의 비율을 polar plot하여 나타내었다. Fig. 6(e) 에서 bare Cr2O3 nanorods는 H2S가스에 대해 극단적으로 치우쳐 있는 뾰족한 그래프 개형을 확인 할 수 있고, H2S에 대해 선택성을 가진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이는 서론에서 언급한 Cr2O3의 H2S에 대해 선택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ig. 6(f)에 1 nm 두께 SnO2-decorated Cr2O3 nanorods의 그래프는 bare Cr2O3 nanorods의 그래프와 비슷한 그래프 개형에서 크기만 커진 모습을 보여주어, 마찬가지로 H2S에 대해 선택성을 가지고 있다. H2S에 대한 반응성이 매우 높아 나머지 가스에 대한 선택성의 직관적 비교가 어려워, Fig. 6(g)에 bare Cr2O3 nanorods의 반응성 대비 1 nm 두께 SnO2-decorated Cr2O3 nanorods 반응성의 비율 그래프를 살펴보면, 앞선 그래프와 달리 CH4와 CO 사이로 부채꼴의 그래프 개형을 볼 수 있다. 이는 SnO2를 장식함으로써 H2S보다 CH4와 CO의 증가비율이 높아 두 가스에 대한 선택성을 높일 수 있었다.
정공이 주요 전하 운반자(majority charge carrier)인 p-type Cr2O3의 가스 감지 매커니즘은 앞서 기술했듯이, 공기중에 산소가 흡착되어 정공 축적층이 형성되고 환원성 가스에 노출되면 표면의 산소와 반응하며 산화되어 감지소재에 전자가 주입된다 [20]. 따라서 재결합에 의한 정공의 감소로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금속 산화물 반도체 기반 가스 센서의 가스 흡착 매커니즘과 그에 따른 저항 변화는 3 basic factor(utility factor, receptor, transducer function)를 포함하게 된다. 이중 Cr2O3 thin film에서 Cr2O3 nanorods로 구조체를 형성함에 따라 반응성이 증가한 것은 utility factor에 기인한다. Utility factor는 감지 성능이 구조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결정하며 다공성 구조가 utility factor를 극대화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그러므로 다공성 nanorods구조체를 형성함에 따라 증가한 비표면적이 utility factor를 극대화하여 가스 감지성능을 향상시켰다 [34,35].
Bare Cr2O3 nanorods와 SnO2-decorated Cr2O3 nanorods가 가스에 노출되었을 때가 Fig. 7(a)에 나타나 있다. SnO2의 장식은 가스 감지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3 basic factor 중 transducer function과 관련이 깊다. transducer function은 표면 현상이 센서의 전기 저항의 변화로 어떻게 변환되는지와, 각 입자의 반응이 전체 장치에 대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것으로 주로 입계사이에 형성되는 표면 전위(surface potential) 및 전위 장벽(potential barriers) 그리고 입계 내의 결함 상태에 electronic sensitization 효과가 일어나고, 이 효과는 두 물질 사이 전하 흐름에 의해서 발생한다. 두 물질이 페르미 준위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전자는 SnO2에서 Cr2O3로 흐르고 에너지 밴드 밴딩으로 인해 이종접합에서 전위 장벽을 생성하며 Cr2O3의 전도채널은 감소하여 가스 분자 흡탈착시 저항 변화가 커지게 된다 [39].
장식된 SnO2의 두께도 큰 영향을 미치는데, Fig. 7(b)는 3가지 다른 SnO2 두께의 Cr2O3 nanorods를 보여주고 있다. SnO2가 조금 장식되었을 때 공핍 영역 사이로 전류가 흐르는 길이 만들어질 수 있어 electronic sensitization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40]. 1 nm의 경우 SnO2와의 접합으로 형성된 공핍 영역이 서로 겹쳐 전체적으로 공핍 영역이 형성되었고, electronic sensitization 효과가 극대화된다. 반면 SnO2의 장식 두께가 3 nm로 증가하게 되면 electronic sensitization 효과는 우수하지만, 가스와 반응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들어 반응성이 줄어들게 된다 [14,41]. 또한 5 nm 로 증가하게 되면 가스와 반응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들고, 기저저항이 떨어진 것을 미루어 보아 nanorods간에 연결이 증가하여 electronic sensitization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32].
4. 결 론
고성능의 H2S 가스센서를 제작하기 위해서 경사각 증착법을 사용하여 Cr2O3 nanorods를 형성하고 SnO2를 장식하였다. SnO2의 장식 두께를 최적화하여 1 nm 두께로 SnO2-decorated Cr2O3 nanorods는 H2S, CH4, CO2, H2 가스에 대해 bare Cr2O3 nanorods보다 반응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반응성의 향상은 수직으로 정렬된 nanorods의 구조적 효과(utility factor)와 SnO2의 장식으로 형성된 heterojunction에 전위장벽 증가(transducer function)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특히 SnO2-decorated Cr2O3 nanorods의 H2S에 대한 높은 선택성은 산업 현장 등에서 H2S를 위한 가스센서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2023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결과입니다.(2021RIS-004)
본 논문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용장비센터의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REFERENCES
- J. Lee, N. G. Do, D. H. Jeong, D. G. Jung, H. K. An, S. H. Kong, and D. Jung, “Polyester (PET) Fabric dyed with Lead (II) acetate-based Colorimetric Sensor for Detecting Hydrogen Sulfide (H2S)”, J. Sens. Sci. Technol., Vol.29, No.5 pp.360-364, 2020. [https://doi.org/10.46670/JSST.2020.29.5.360]
- S. K. Pandey, K. H. Kim, and K. T. Tang, “A review of sensor-based methods for monitoring hydrogen sulfide”, Trends. Analyt. Chem., Vol. 32, pp. 87-99, 2012. [https://doi.org/10.1016/j.trac.2011.08.008]
- S. Navale, M. Shahbaz, S. M. Majhi, A. Mirzaei, H. W. Kim, and S. S. Kim, “CuxO nanostructure-based gas sensors for H2S detection: an overview”, Chemosensors, Vol. 9, No. 6, pp. 127(1)-127(20), 2021. [https://doi.org/10.3390/chemosensors9060127]
- R. Shaik, R. K. Kampara, A. Kumar, C. S. Sharma, and M. Kumar, “Metal oxide nanofibers based chemiresistive H2S gas sensors”, Coord. Chem. Rev., Vol. 471, p. 214752, 2022. [https://doi.org/10.1016/j.ccr.2022.214752]
- E. Ashori, F. Nazari, and F. Illas, “Adsorption of H2S on carbonaceous materials of different dimensionality”, Int. J. Hydrogen Energy, Vol. 39, No. 12, pp. 6610-6619, 2014. [https://doi.org/10.1016/j.ijhydene.2014.02.004]
- F. I.M. Ali, S. T. Mahmoud, F. Awwad, Y. E. Greish, and A. F. S. Abu-Hani, “Low power consumption and fast response H2S gas sensor based on a chitosan-CuO hybrid nanocomposite thin film”, Carbohydr. polym., Vol. 236, p. 116064, 2020. [https://doi.org/10.1016/j.carbpol.2020.116064]
- T. P. Mokoena, Z. P. Tshabalala, K. T. Hillie, H. C. Swart, and D. E. Motaung, “The blue luminescence of p-type NiO nanostructured material induced by defects: H2S gas sensing characteristics at a relatively low operating temperature”, Appl. Surf. Sci., Vol. 525, p. 146002, 2020. [https://doi.org/10.1016/j.apsusc.2020.146002]
- S. Yang, J. Sun, L. Xu, Q. Zhou, X. Chen, S. Zhu, B. Dong, G. Lu, and H. Song, “Au@ ZnO functionalized three–dimensional macroporous WO3: A application of selective H2S gas sensor for exhaled breath biomarker detection”, Sens. Actuators B, Vol. 324, p. 128725, 2020. [https://doi.org/10.1016/j.snb.2020.128725]
- J. I. Paredes, S. Villar-Rodil, A. Martínez-Alonso, and J. M. D. Tascón, “Graphene oxide dispersions in organic solvents”, Langmuir, Vol. 24, No. 19, pp. 10560-10564, 2008. [https://doi.org/10.1021/la801744a]
- M. F. Craciun, I. Khrapach, M. D. Barnes, and S. Russo,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chemically functionalized graphene”, J. Phys. Condens. Matter, Vol. 25, No. 42, p. 423201, 2013. [https://doi.org/10.1088/0953-8984/25/42/423201]
- V. H. Pham, T. V. Cuong, S. H. Hur, E. Oh, E. J. Kim, E. W. Shin, and J. S. Chung, “Chemical functionalization of graphene sheets by solvothermal reduction of a graphene oxide suspension in N-methyl-2-pyrrolidone”, J. Mater. Chem., Vol. 21, No. 10, pp. 3371-3377, 2011. [https://doi.org/10.1039/C0JM02790A]
- S. Lee and K. C. Kwon, “Recent Advances and Trends in Metal Oxide-based Semiconductor Gas Sensors”, Ceramist, Vol. 26, No. 1, pp. 32-46, 2023. [https://doi.org/10.31613/ceramist.2023.26.1.03]
- Z. Yunusa, M. N. Hamidon, A. Kaiser, and Z. Awang, “Gas sensors: A review”, Sens. Transducers, Vol. 168, No. 4, pp. 61-75, 2014.
- W. Oum, “Development of p-type and n-type semiconductor gas sensor for low-power consumption”, M. S. thesis,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KR, 2022.
- D. Szczuko, J. Werner, S. Oswald, G. Behr, and K. Wetzig, “XPS investigations of surface segregation of doping elements in SnO2”, Appl. Surf. Sci., Vol. 179, No. 1-4, pp. 301-306, 2001. [https://doi.org/10.1016/S0169-4332(01)00298-7]
- Ç. Kılıç and A. Zunger, “Origins of coexistence of conductivity and transparency in SnO2”, Phys. Rev. Lett., Vol. 88, No. 9, pp. 095501(1)-095501(5), 2002.
- M. Batzill and U. Diebold, “The surface and materials science of tin oxide”, Prog. Surf. Sci., Vol. 79, No. 2-4, pp. 47-154, 2005. [https://doi.org/10.1016/j.progsurf.2005.09.002]
- C. S. Cheng, H. Gomi, and H. Sakata,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Cr2O3 films prepared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Physica Status Solidi A, Vol. 155, No. 2, pp. 417-425, 1996. [https://doi.org/10.1002/pssa.2211550215]
- A. Holt and P. Kofsta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defect structure of Cr2O3. II. Reduced temperatures (<?1000°C)”, Solid State Ion., Vol. 69, No. 2, pp. 137-143, 1994. [https://doi.org/10.1016/0167-2738(94)90402-2]
- H. J. Kim and J. H. Lee,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gas sensors using p-type oxide semiconductors: Overview”, Sens. Actuators B, Vol. 192, pp. 607-627, 2014. [https://doi.org/10.1016/j.snb.2013.11.005]
- M. Hübner, C. E. Simion, A. Tomescu-Stănoiu, S. Pokhrel, N. Bârsan, and U. Weimar, “Influence of humidity on CO sensing with p-type CuO thick film gas sensors”, Sens. Actuators B, Vol. 153, No. 2, pp. 347-353, 2011. [https://doi.org/10.1016/j.snb.2010.10.046]
- K. Pirkanniemi and M. Sillanpää, “Heterogeneous water phase catalysis as an environmental application: a review”, Chemosphere, Vol. 48, No. 10, pp. 1047-1060, 2002. [https://doi.org/10.1016/S0045-6535(02)00168-6]
- M. M. Bettahar, G. Costentin, L. Savary, and J. C. Lavalley, “On the partial oxidation of propane and propylene on mixed metal oxide catalysts”, Appl. Catal. A Gen., Vol. 145, No. 1-2, pp. 1-48, 1996. [https://doi.org/10.1016/0926-860X(96)00138-X]
- Y. Morooka and A. Ozaki, “Regularities in catalytic properties of metal oxides in propylene oxidation”, J. Catal., Vol. 5, No. 1, pp. 116-124, 1966. [https://doi.org/10.1016/S0021-9517(66)80131-8]
- S. S. Kaye and J. R. Long, “Hydrogen Storage in the Dehydrated Prussian Blue Analogues M3[Co(CN)6]2 (M= Mn, Fe, Co, Ni, Cu, Zn)”, J. Am. Chem. Soc., Vol. 127, No. 18, pp. 6506-6507, 2005. [https://doi.org/10.1021/ja051168t]
- B.-Y. Song, L.-H. Liu, M. Yang, X.-F. Zhang, Z.-P. Deng, Y.-M. Xu, L.-H. Huo, and S. Gao, “Biotemplate-directed synthesis of Cr2O3 mesoporous monotubes for enhanced sensing to trace H2S gas”, Sens. Actuators B, Vol. 369, p. 132294, 2022. [https://doi.org/10.1016/j.snb.2022.132294]
- B.-Y. Song, X.-F. Zhang, J. Huang, X.-L. Cheng, Z.-P. Deng, Y.-M. Xu, L.-H. Huo, and S. Gao, “Porous Cr2O3 architecture assembled by nano-sized cylinders/ellipsoids for enhanced sensing to trace H2S gas”, ACS Appl. Mater. Interfaces, Vol. 14, No. 19, pp. 22302-22312, 2022. [https://doi.org/10.1021/acsami.2c03154]
- V. Balouria, A. Kumar, A. Singh, S. Samanta, A. K. Debnath, A. Mahajan, R. K. Bedi, D. K. Aswal, S. K. Gupta, and J. V. Yakhmi, “Temperature dependent H2S and Cl2 sensing selectivity of Cr2O3 thin films”, Sens. Actuators B, Vol. 157, No. 2, pp. 466-472, 2011. [https://doi.org/10.1016/j.snb.2011.05.002]
- S. Ahmed and S. K. Sinha, “Studies on nanomaterial-based p-type semiconductor gas sensors”, Environ. Sci. Pollut. Res., Vol. 30, No. 10, pp. 24975-24986, 2023. [https://doi.org/10.1007/s11356-022-21218-6]
- J. M. Jeon, Y. S. Shim, S. D. Han, Y. H. Kim, C. Y. Kang, J. S. Kim, M. Kim, and H. W. Jang, “Vertically ordered SnO2 nanobamboos for substantially improved detection of volatile reducing gases”, J. Mater. Chem. A, Vol. 3, No. 35, pp. 17939-17945, 2015. [https://doi.org/10.1039/C5TA03293H]
- R. Kattumenu, C. H. Lee, L. Tian, M. E. McConney, and S. Singamaneni, “Nanorod decorated nanowires as highly efficient SERS-active hybrids”, J. Mater. Chem., Vol. 21, No. 39, pp. 15218-15223, 2011. [https://doi.org/10.1039/c1jm12426a]
- D. H. Kim, Y.-S. Shim, H. G. Moon, H. J. Chang, D. Su, S. Y. Kim, J.-S. Kim, B. K. Ju, S.-J. Yoon, and H. W. Jang, “Highly ordered TiO2 nanotubes on patterned substrates: synthesis-in-place for ultrasensitive chemiresistors”, J. Phys. Chem. C, Vol. 117, No. 34, pp. 17824-17831, 2013. [https://doi.org/10.1021/jp405150b]
- J. M. Suh, Y.-S. Shim, D. H. Kim, W. Sohn, Y. Jung, S. Y. Lee, S. Choi, Y. H. Kim, J.-M. Jeon, K. Hong, K. C. Kwon, S. Y. Park, C. Kim, J.-H. Lee, C.-Y. Kang, and H. W. Jang, “Synergetically selective toluene sensing in hematite?decorated nickel oxide nanocorals”, Adv. Mater. Technol., Vol. 2, No. 3, p. 1600259, 2017. [https://doi.org/10.1002/admt.201600259]
- N. Nasiri and C. Clarke, “Nanostructured chemiresistive gas sensors for medical applications”, Sensors, Vol. 19, No. 3, p. 462, 2019. [https://doi.org/10.3390/s19030462]
- N. Yamazoe and K. Shimanoe, “New perspectives of gas sensor technology”, Sens. Actuators B, Vol. 138, No. 1, pp. 100-107, 2009. [https://doi.org/10.1016/j.snb.2009.01.023]
- A. Tricoli, M. Righettoni, and A. Teleki, “Semiconductor gas sensors: dry synthesis and application”, Angew. Chem. Int. Ed., Vol. 49, No. 42, pp. 7632-7659, 2010. [https://doi.org/10.1002/anie.200903801]
- R. Bo, N. Nasiri, H. Chen, D. Caputo, L. Fu, and A. Tricoli, “Low-voltage high-performance UV photodetectors: an interplay between grain boundaries and debye length”, ACS Appl. Mater. Interfaces, Vol. 9, No. 3, pp. 2606-2615, 2017. [https://doi.org/10.1021/acsami.6b12321]
- N. Nasiri, R. Bo, H. Chen, T. P. White, L. Fu, and A. Tricoli, “Structural engineering of nano?grain boundaries for low?voltage UV?photodetectors with gigantic photo?to dark?current ratios”, Adv. Opt. Mater., Vol. 4, No. 11, pp. 1787-1795, 2016. [https://doi.org/10.1002/adom.201600273]
- X.-T. Yin, J. Li, Q. Wang, D. Dastan, Z.-C. Shi, N. Alharbi, H. Garmestani, X.-M. Tan, Y. Liu, and X.-G. Ma, “Opposite sensing response of heterojunction gas sensors based on SnO2–Cr2O3 nanocomposites to H2 against CO and its selectivity mechanism”, Langmuir, Vol. 37, No. 46, pp. 13548- 13558, 2021. [https://doi.org/10.1021/acs.langmuir.1c01706]
- S. Kwak, Y. S. Shim, Y. K. Yoo, J. H. Lee, I. Kim, J. Kim, K. H. Lee, and J. H. Lee, “MEMS-based gas sensor using PdO-decorated TiO2 thin film for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H2 detection with low power consumption”, Electronic Mater. Lett., Vol. 14, pp. 305-313, 2018. [https://doi.org/10.1007/s13391-018-0030-5]
- N. Yamazoe and K. Shimanoe, “New perspectives of gas sensor technology”, Sens. Actuators B, Vol. 138, No. 1, pp. 100-107, 2009. [https://doi.org/10.1016/j.snb.2009.0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