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센서학회 학술지영문홈페이지

Editorial Board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Vol. 29 , No. 5

[ Article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Vol. 29, No. 5, pp. 328-331
Abbreviation: JSST
ISSN: 1225-5475 (Print) 2093-7563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03 Sep 2020 Revised 07 Sep 2020 Accepted 09 Sep 2020
DOI: https://doi.org/10.46670/JSST.2020.29.5.328

졸-겔 공법으로 제작된 SnO2 박막 트랜지스터의 광전기적 특성
이창민1 ; 장재원1, 2, +
1경북대학교 IT 대학 전기전자공학부
2경북대학교 IT 대학 전자공학부

Optoelectronic Properties of Sol-gel Processed SnO2 Thin Film Transistors
Changmin Lee1 ; Jaewon Jang1, 2, +
1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2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Correspondence to : +j1jang@k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In this study, a highly crystalline SnO2 thin film was formed using a sol–gel process. In addition, a SnO2 thin-film transistor was successfully fabricated. The fabricated SnO2 thin-film transistor exhibited conventional n-type semiconductor properties, with a mobility of 0.1 cm2 V-1 s-1, an on/off current ratio of 1.2 × 105, and a subthreshold swing of 2.69. The formed SnO2 had a larger bandgap (3.95 eV) owing to the bandgap broadening effect. The fabricated photosensor exhibited a responsivity of 1.4 × 10-6 Jones, gain of 1.43 × 107, detectivity of 2.75 × 10-6 cm Hz1/2 W−1, and photosensitivity of 4.67 × 102.


Keywords: SnO2, Sol-gel, Thin film transistor, Photo sensor

1. 서 론

광센서는 우주에서의 통신, 광전자 소자 및 광학 이미지 센서 등 차세대 반도체 산업에서 핵심 소자로 알려져 있다 [1]. 현재까지 대부분의 광센서는 고결정성의 Si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여 제작되어 있다. 기존의 Si 반도체 기반의 광 센서의 경우 Si 반도체의 형성 및 박막 형성에 있어, 고온과 고진공의 장비를 요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소자 제작의 단가 상승을 야기하고, 대면적 공정 및 유연기판에 제작이 어려워 소자의 설계에 제약을 주고 있다. 이러한 Si 반도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무기물 화합물 반도체인 ZnS, InSe, CdS, Ag2Se, ZnO, CeO2 및 V2O5 등이 최근 연구되고 있다[2-6]. 특히 ZnO, CeO2 및 V2O5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의 경우 Bandgap 이 상대적으로 크기때문에 고투명도를 확보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를 제작함에 있어 Sol-gel 공법이라는 액상 공정을 사용하면, 고결정성의 산화물을 진공 장비 없이, 대 면적에 제작 할 수 있어, Spray 공법, Spin-coating 공법 및 인쇄 전자에 사용되는 잉크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7-9]. 대표적으로 ZnO, In2O3, 및 SnO2 는 잘 알려진 n-type 반도체이며, 특히 SnO2 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가의In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낮은가격으로 박막을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SnO2 반도체는 ZnO 및 In2O3 대비 낮은 녹는점과, 고이동도 및 높은 밴드갭을 보여주어, 고성능의 광전자소자를 제작 하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반도체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1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ol-gel 공법을 이용하여 SnO2 박막을 형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하고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작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광 응답 특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Parameter 를 평가하였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시약은 Sigma-Aldrich 에서 구입하였으며, 추가적인 공정없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SnO2 박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구체로 SnCl2·2H2O를 사용하였다. 56.4 mg 의 전구체를 10ml ethanol 에 분산하여 0.025 mol 의 전구체를 준비하였다. SnO2 박막 트랜지스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SnO2 박막 트랜지스터는 Bottom gate coplanar 구조이다. Boron 이 도핑된 p-type 실리콘 기판 위에 100 nm 두께의 SiO2 절연막을 Dry-oxidation 방법을 통하여 성장시켰다. 이후 Source/Drain 전극을 Photolithography 공정과 E-beam evaporation 공정을 이용하여 Au Source/Drain 전극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Source/Drain 전극의 두께는 50 nm 이며, 채널의 길이와 폭은 각각 1000 um 및 100 um 이다. SnO2 박막을 형성하기 전, 표면의 불순물 제거 및 균일한 박막의 형성을 위하여 UV/O3 조사하였다. 이후 3000 rpm 에서 50초 동안 Spin coating 방법을 통하여 박막을 형성시켰다. 전구체가 도포된 기판을 Hotplate 에서 150 oC 로 10분간 열처리를 하였다. 이후 Furnace에서 500 oC 로 2시간 동안 공기중에서 열처리 하였다. 측정 전 게이트 누설 전류 및 Fringe 효과를 막기위해 증착된 박막을 기계적으로 패터닝하였다. 박막의 결정 구조는 X’pert pro grazing incidence X-ray diffractometer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박막의 광특성은 UV-Vis spectroscopy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제작된 트랜지스터의 광전기적 특성은 상온, 공기중에서Agilent 4155 반도체 Parameter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주사된 백색광은 OSRAM HLX64633 할로겐 램프 (100 mW cm-2)를 사용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그림 1 은 열처리 후의 SnO2 박막의 GIXRD 패턴을 보여준다. 얻어진 Peak 을 토대로 확인해 본 결과, 측정된 박막의 스펙트럼은 표준 JCDPS 41-1445 데이터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형성된 박막은 tetragonal 구조의 SnO2 박막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Sn및 SnO Peak 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구체가 SnO2 박막으로 변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plane의 Peak이 확인되는 것을 보아 poly-crystalline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110) 방향의 Peak 의 세기가 가장 크게 확인되는 것으로 열처리 과정에서 (110) 방향의 결정 성장이 쉽게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처리 후 박막의 결정 크기는 Scherrer Equation (1)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Fig. 1. 
XRD spectra of sintered SnO2 films.

D=0.9λ/βcos θ(1) 

여기서 D 는 결정크기, λ 는 파장, β 는 최대 강도를 가지는 Peak 의 반치폭, θ 는 최대 강도를 가지는 Peak 의 위치이다. 이식을 통하여 계산한 SnO2 박막의 결정 크기는 4.67 nm 이다

그림 2 (a) 는 열처리 후의 SnO2 박막의 흡광도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 광에너지 (ahv) 에 대한 그래프는 그림 2 (b) 에 보여주고 있다. 아래의 수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그래프에서 선형으로 피팅하여 박막의 밴드갭을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박막의 밴드갭은 3.95 eV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2. 
(a) Absorbance and (b) (ahv)2 vs hv curves of Sol-gel processed SnO2 thin films.

αhv1/n=Ahυ-Eg(2) 

여기서 a 는 흡광상수, hv 는 광에너지, n 은 Power Factor, A는 상수, Eg 는 박막의 밴드갭 값을 의미한다. Power Factor는 직접천이형의 반도체의 경우인 0.5 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흡광상수 값은 아래의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A 는 흡광도, t 는 박막의 두께이다. 특정된 박막의 두께는 4.4 nm 이다.

α=2.303A/t(3) 

계산된 SnO2 박막의 밴드갭은 3.95 eV 로 Bulk SnO2 반도체의 밴드갭인 3.67 eV 보다는 큰 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박막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2D 박막에서 발생하는 밴드갭 브로드닝 효과가 발생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아래의 수식을 통하여 브로드닝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13].

Egdot=Egbulk+h2π22R21me*+1mh*(4) 

여기서 Eg 는 밴드갭, R는 두께, me*, mh* 는 각각 전자와 전공의 유효 질량을 의미한다. 측정된 박막의 두께를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3.92 eV 로 측정값과 유사한 값을 확인하였다.

그림 3은 제작된 SnO2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을 보여준다. 제작된 SnO2 박막 트랜지스터는 전형적인 n-type 반도체 소자의 특성을 보여준다. 제작된 소자의 이동도는 0.1 (cm2 V-1s-1) 및 Ion/Ioff 는 1.2×105 이다. 제작된 소자의 Vth 는 -3.8 V이며, 이를 통하여 제작된 SnO2 박막 트랜지스터는 Depletion Mode 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낮은 VDS 전압에서 전압과 전류는 선형적인 특성을 보여주지는 않았으며, 이는 n-type 반도체인 SnO2 와 Source/Drain으로 사용한 Au 의 일함수차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장벽으로 인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14,15].


Fig. 3. 
Output curves of Sol-gel processed SnO2 thin film transistors: (a) ID-VD curves and (b) ID-VG curves.

그림 4는 제작된 SnO2 박막트랜지스터의 광응답특성을 보여준다. 제작된 SnO2 박막트랜지스터는 공기중에 노출된 채로 백색광에 노출시켰으며, 인가된 전압은 VD=+1.0 V 와 VG=-19.0 V 이다. 광센서의 특성 평가를 위한 대표적인 Parameter 인 responsivity (R), gain (G), detectivity (D*) 및 photosensitivity (S) 값을 아래의 수식으로 평가하였다.


Fig. 4. 
Transient photocurrent characteristics of Sol-gel processed SnO2 thin film transistors.

R=Iph-IdPo=ηqλhcG(5) 
G=NelNph=ττtr(6) 
D*=A1/2R2qId1/2(7) 
S=Iph-IdId×100%(8) 

여기서 Iph, Id, Po, η, q, λ, h, c, Nel, Nph, τ 및 τtr 는 각각 광전류, 암전류, 주사된 광원의 파워, 양자 효율, 전하량, 주사된 빛의 파장, 플랑크 상수, 광속, 단위시간동안 발생된 전자 및 정공의 수, 재결합 수명 및 천이 시간 이다. 이를 바탕으로 추출한 소자의 responsivity, gain, detectivity, 및 photosensitivity 는 각각 1.4×10-6, 1.43×107, 2.75×10-6 (cm Hz1/2W−1) 및 4.67×102 이였다. 특히 제작된 소자는 빛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한 광전류가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다가, 이후에 서서히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기의 급격한 증가는 빛에 의해 여기 된 전자가 직접적으로 고에너지 준위로 직접이동하기 때문이다. 이후 표면이나 내부의 트랩 준위로 인하여 서서히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16]. 또한 지속적으로 인가된 VG전압에 의하여 음의 방향으로 이동한 Vth 도 전류값의 증가에 기여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Vth 를 위해서 Doping 공정을 진행하고, 구체적인 광전류 메카니즘 분석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17,18].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Sol-gel 공법을 이용하여 고결정성의 SnO2 박막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SnO2 박막 트랜지스터는 전형적인 n-type 반도체 특성을 보여주었다. 제작된 소자의 이동도는 0.1 (cm2 V-1s-1) 및 Ion/Ioff 는 1.2×105 이다. 제작된 소자의 Vth 는 –3.8 V 이며, 이를 통하여 제작된 SnO2 박막 트랜지스터는 Depletion Mode 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트랜지스터를 백색광에 노출시켜 광응답특성을 확인하여 센서를 제작하였다. 광센서의 특성 평가를 위한 대표적인 Parameter 인 responsivity (R), gain (G), detectivity (D*) 및 photosensitivity (S) 값을 아래의 수식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출한 소자의 responsivity, gain, detectivity 및 photosensitivity 는 각각 1.4×10-6, 1.43 ×107, 2.75×10-6 (cm Hz1/2W−1), 및 4.67×102 이였다.


Acknowledgments

이 성과는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2019R1F1A1059788)


References
1. M. Razeghi, and A. Rogalski, “A. Semiconductor ultraviolet detectors”, J. Appl. Phys., Vol. 79, No. 10, pp. 7433-7473, 1996.
2. T. Zhai, “Recent developments in one-dimensional inorganic nanostructures for photodetectors”, Adv. Funct. Mater., Vol. 20, No. 24, pp. 4233-4248, 2010.
3. Y. Kim, S. J. Kim, S. Cho, B. H. Hong, and D. Jang, “High-performance ultraviolet photodetectors based on solution-grown ZnS nanobelts sandwiched between graphene layers”, Sci. Rep., Vol. 5, pp. 12345(1)-12345(8), 2015.
4. W. Y. Lee, S. Ha, H. Lee, J. H. Bae, B. Jang, H. J. Kwon, Y. Yun, S. Lee, and J. Jang, “High Detectivity Flexible Near Infrared Photodetector Based on Chalcogenide Ag2Se Nanoparticles”, Adv. Opt. Mater., Vol. 7, pp. 1900812(1)-1900812(7), 2019.
5. Y. Jin, J. Wang, B. Sun, J. C. Blakesley, and N. C. Greenham, “Solution-processed ultraviolet photodetectors based on colloidal ZnO Nanoparticles”, Nano Lett., Vol. 8, No. 6, pp. 1649–1653, 2008.
6. S. Rahendran, M. M. Khan, F. Gracia, J. Qin, V. K. Gupta, and S. Arumanathan, “Ce3+ ion induced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degradation and electrochemical activity of ZnO/CeO2 nanocomposite”, Sci. Rep., Vol. 6, pp. 31641(1)-31641(11), 2016.
7. B. Jang, T. Kim, S. Lee, W. Y. Lee, H. Kang, C. S. Cho, and J. Jang, “High Performance Ultrathin SnO2 Thin Film Transistor by Sol-gel Method”, IEEE Electron Device Lett., Vol. 39, No. 8, pp. 1179-1182, 2018.
8. J. Jang, H. Kang, H. C. N. Chakravarthula, and V. Subramanian, “Fully Inkjet-Printed Transparent Oxide Thin Film Transistors Using a Fugitive Wettability Switch”, Adv. Electron. Mater., Vol. 1, pp.1500086(1)-1500086(7), 2015.
9. W. J. Scheideler, J. Jang, M. A. Ul Karim, R. Kitsomboonloha, A. Zeumault, and V. Subramanian, “Gravure-Printed Sol–Gels on Flexible Glass: A Scalable Route to Additively Patterned Transparent Conductors”, ACS. Appl. Mater. Interfaces, Vol. 7, No. 23, pp. 12679-12687, 2015.
10. K. J. Button, C. G. Fonstad, and W. Dreybrodt, ‘‘Determination of the electron masses in stannic oxide by submillimeter cyclotron resonance”, Phys. Rev. B- Condens. Matter, Vol. 4, No. 12, pp. 4539–4542, 1971.
11. O. Bierwagen and J. S. Speck, ‘‘High Electron Mobility In2O3 (001) and (111) Thin Films with Nondegenerate Electron Concentration”, Appl. Phys. Lett., Vol. 97, No. 7, pp. 072103(1)-072103(3), 2010.
12. D. C. Look, D. C. Reynolds, J. R. Sizelove, R. L. Jones, C. W. Litton, G. Cantwell, and W. C. Harsch, “Electrical Properties of Bulk ZnO”, Solid State Commun., Vol. 105, No. 6, pp. 399–401, 1998.
13. S. Ghosh, K. Das, K. Chakrabarti, and S. K. De, “Effect of oleic acid ligand on photophysical, photoconductive and magnetic properties of monodisperse SnO2 quantum dots”, Dalton Trans., Vol. 42, No. 10, pp. 3434–3446, 2013.
14. B. Jang, T. Kim, S. Lee, W. Y. Lee, and J. Jang, “Schottky Nature of Au/SnO2 Ultrathin Film Diode Fabricated Using Sol-gel Process”, IEEE Electron Device Lett., Vol. 39, No. 11, pp. 1732-1735, 2018.
15. Y. Yun, A. Choi, S. G. Hahm, J. W. Chung, Y. U. Lee, J. Y. Jung, J. Y. Kim, J. I. Park, S. Lee, and J. Jang, “Enhanced Performance of Thiophene-rich Heteroacene, Dibenzothiopheno [6,5-b:6',5'-f]thieno [3,2-b] Thiophene Thin Film Transistor with MoOx Hole Injection Layers”, IEEE Electron Device Lett., Vol. 38, No. 5, pp. 649-652, 2017.
16. J. C. Moore and C. V. Thompson, “A Phenomenological Model for the Photocurrent Transient Relaxation Observed in ZnO-Based Photodetector Devices”, Sensors, Vol. 13, No. 8, pp. 9921-9940, 2013.
17. T. Kim, B. Jang, S. Lee, W. Lee, and J. Jang, “Improvement in Negative Bias Stress Stability of Sol-gel Processed Mg doped In2O3 Thin Film Transistors”, IEEE Electron Device Lett., Vol. 39, No. 12, pp. 1872-1875, 2018.
18. W. Y. Lee, S. Ha. H. Lee, J. H. Bae, I. M. Kang, K. Kim, and J. Jang, “Effect of Mg Doping on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a Sol-gel Processed Thin Film Transistors”, Electronics, Vol. 9, No. 3, pp. 523-532, 2020.